경기도 포천의 한 농지에 버려진 토사에서 구리와 납 등 중금속이 기준 이상으로 검출됐다는 제보가 들어왔습니다. <br /> <br />토사가 나온 곳은 서울의 재개발 현장이었는데, 담당구청과 재건축조합은 다른 사람 탓만 하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'제보는 Y', 박기완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기도 포천의 한 농지. <br /> <br />여기저기 쌓인 새까만 흙을 굴착기와 화물트럭이 오가며 퍼 나릅니다. <br /> <br />구리와 납 등 중금속이 기준치 이상 포함된 흙이 불법으로 버려졌다가, 시의 행정명령을 받고 회수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바로 옆엔 하천이 있어서 추가 오염까지 우려되는 상황인 탓에 주민들이 직접 신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인근 주민 : 차로 지나가다가 보니까 이거 까만 게 뭐야, 이게 왜 여기 와있어 했지. 한 1주인가 2주 만에 다 쌓던데….] <br /> <br />지금 이곳은 오염된 토양을 밖으로 빼내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. 이쪽을 보면 제 키만큼 쌓여있던 오염토의 흔적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염된 흙이 실려 온 곳은 서울 성수동의 한 재개발 현장, 주유소와 공장들이 수십 년간 흘려보낸 하수로 땅이 오염된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사업을 주도한 지역주택조합은 오염 여부를 모른 채 지난해 토사를 실어 날랐다고 주장합니다. <br /> <br />[재개발지역주택조합장 : 저희가 그런 자료를 가지고 있지를 않아서, 인수인계 이런 부분이 (잘 안 되기) 때문에 잘 모르는 상태고, (전임자에) 어떻게 된 거냐고 했더니 그런 것도 같고 모르겠다고 하는데….] <br /> <br />정말 몰랐던 걸까? <br /> <br />서울시는 10만㎡ 이상 규모의 대규모 공사의 경우 대기와 수질, 토양 오염의 우려가 없는지 사전·사후 평가를 받아 제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조합 측도 지난 2018년 재개발 예정지 땅이 오염된 것으로 확인하고, 정화 처리 방법까지 보고서로 만들어 서울시에 냈습니다. <br /> <br />시험성적서엔 구리와 아연, 불소 등 인체에 유해 한 물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됐다고 명시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담당자가 바뀌어 몰랐다며 책임을 회피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한술 더 떠 오염토 반출 현장에 구청 담당자가 왔지만, 별다른 지적이 없었다고 주장합니다. <br /> <br />[재개발지역 주택조합장 : (오염토가) 나갈 때 성동구청 사람들도 왔었어요. 환경팀장님도 오시고 한 7백 대 나갈 때 그분들도 오셨어요. 보시다가 한번 만져보시더니 '괜찮네?' 이렇게 이야기하시더라고요.] <br /> <br />구청의 업무 처리도 가관입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31805033130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